written by yechoi

[ft_services] 도커를 바탕으로 쿠버네티스 이해하기(2) - 상태 확인, 접속, 삭제 본문

Born 2 Code/Docker, Kubernetes

[ft_services] 도커를 바탕으로 쿠버네티스 이해하기(2) - 상태 확인, 접속, 삭제

yechoi 2020. 10. 31. 17:29
반응형

앞서 도커의 컨테이너, 쿠버네티스의 파드를 만들어 봤다. 과연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해볼 차례다. 원하는 대로 파드를 만드는 데 실패해, 다시 빌드해야 할 경우 삭제하는 법까지 정리한다.

 

도커, 컨테이너 상태 확인 vs 쿠버네티스, 파드 상태 확인

우리가 만든 파드는 잘 돌아가고 있을까.

도커에선 컨테이너를 조회하기 위해 실행 중인 컨테이너만 확인하기 위해선 docker ps, 죽은 것까지 확인하기 위해선 docker ps -a 명령어를 썼다.

쿠버네티스에선 다음과 같이 확인한다.

$ kubectl get pods

이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. 아래의 경우는 8개의 파드가 성공적으로 돌아가는 가고 있는 상태.

READY의 상태가 1/1, STATUS의 상태가 Running이라면 제대로 생성돼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. 아니라면,,, 그 이유를 찾는 여정이 시작되겠죠,,,😩 yaml 파일을 잘 보세요

 

 

쿠버네티스, 서비스 상태 확인

앞서 쿠버네티스의 파드를 만들 때, 외부로 노출하는 '서비스' 설정도 yaml 파일로 해줬다.

 

[ft_services] 도커를 바탕으로 쿠버네티스 이해하기(1) - 생성

42cursus에서 ft_services 과제를 할 때 가장 애먹었던 건 쿠버네티스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었다. 공식 도큐먼트를 읽는 건 물론 쿠버네티스 관련 책도 사서 보고 블로그 글도 많이 읽었는데, 용어

yechoi.tistory.com

서비스 설정은 잘 됐을까.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서비스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.

$ kubectl get svc

IP 노출 방법인 TYPECLUSTER_IP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다. 특히 로드밸런서로 IP를 외부로 노출해주기로 했다면 EXTERNAL-IP도 볼 수 있다.

서비스를 접속해보고 싶다면, 기본적으론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. 크롬에 주소와 포트 입력해서 확인하거나.

원하는 화면이 안뜬면,,, 각종 설정파일을 다시 뒤적여야겠죠,,,

$ curl http:://SERVICE_EXTERNAL_IP:PORT_NUM 

 

 

도커, 컨테이너로 들어가기 vs 쿠버네티스, 파드로 들어가기

도커 파일에서 이런 식으로 각종 설정 파일들을 컨테이너 안으로 넣어준 후에, 잘 들어갔는지 확인해야 할 때가 있다.

(분명히 ''설정해준 것 같은데 왜 안되지...' 싶을 때,,, 내 경우 실제로 Dockerfile에서 의도한 복사 자체가 안돼있던 적도 있음.)

COPY default.conf /etc/nginx/conf.d/
COPY entrypoint.sh /tmp/
COPY nginx.crt /etc/nginx/ssl/
COPY nginx.key /etc/nginx/ssl/

그렇다면 컨테이너, 파드 안으로 접속을 해보자. 도커에선 docker exec -it CONTAINER_NAME /bin/bash라는 명령어를 썼다.

쿠버네티스에서도 비슷한데 이런식으로 명령어를 줬다.

 $ kubectl exec -it POD_NAME --sh

 

 

도커, 컨테이너 삭제하기 vs 쿠버네티스, 파드 삭제하기

설정을 수정해야 하거나 원치 않게 반영된 경우, 삭제를 하고 다시 깔아본다.

도커에선 이런 식으로 진행한다.

  1. docker rm CONTAINER_ID 컨테이너 삭제
  2. docker rmi IMAGE_ID 이미지 삭제
  3. docker build -t IMAGE_NAME . 이미지 재빌드
  4. docker run --name CONTAINER_NAME -it -p 80:80 -p 443:443 IMAGE_NAME /bin/bash 컨테이너 빌드

여러 방법이 있겠지만, 대표적으론

$ kubectl delete deployment DEPLOYMENT_NAME #liveprobness 적용돼있을 수 있으므로 디플로이먼트 먼저 삭제 
$ kubectl delete -f PATH/FILE_NAME.yaml #해당 yaml 파일에서 명시한 파드를 지움 

사실 나는 이렇게 지우기 보단 미니큐브로 올려놓은 거였기 때문에 minikube delete 했다😅 이 방법이 오래 걸려서 안쓴다는데, 생각보다 얼마 안걸리길래...! ​

반응형